유튜브 전성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보는 매체가 되었죠. 특히 10대~20대 사이에서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한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과연 유튜브는 어떻게 내가 좋아할만한 영상을 골라내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이번 기회에 유튜브 알고리즘에 대해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요?
알고리즘이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만약 당신이 제주도 여행을 가고싶어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구글맵스라는 사이트에서 '제주도' 검색 후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겠죠? 이때 나오는 결과값인 링크 중 특정 장소를 클릭하면 해당 장소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게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원하는 정보를 얻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알고리즘 입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은 어떻게 구성되어있나요?
유튜브 알고리즘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요, 먼저 시청기록 기반 알고리즘(Audience Recall) 은 말 그대로 시청자의 시청 기록을 분석하여 비슷한 주제의 영상을 추천해줍니다. 다음으로 유사성 기반 알고리즘(Similarity Based) 는 제목이나 썸네일 이미지등을 보고 연관성이 높은 영상을 추천해줍니다.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매우 복잡하며, 모든 세부 사항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몇 가지 기본 원칙들이 있습니다.

사용자 행동:

유튜브는 사용자가 선택한 비디오, 검색어, 조회 시간, 좋아요와 싫어요, 공유, 채널 구독 등 사용자의 행동을 통해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합니다.

비디오 정보:

비디오의 제목, 설명, 태그 등을 통해 비디오의 주제를 이해하고 사용자의 관심사에 맞게 비디오를 추천합니다.
비디오 품질:

유튜브는 비디오의 품질을 측정하고, 높은 품질의 비디오를 더 자주 추천합니다. 이를 평가하는 요소로는 사용자의 시청 시간, 재생률, 사용자의 피드백 등이 있습니다.
사용자의 시청 이력: 

이전에 본 비디오, 검색 이력, 사용자가 좋아요를 누른 비디오 등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추천을 합니다.

 

 

유튜브는 이러한 요소들을 토대로 사용자에게 가장 관련성 높은 컨텐츠를 추천하며, 유튜브의 주 목표는 사용자가 가능한 많은 시간 동안 플랫폼에서 시청을 이어가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튜브에 올라가는 콘텐츠는 사용자의 장기적인 참여와 관심을 유도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유튜브 알고리즘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정확한 작동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이 설명은 유튜브 알고리즘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명심해야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